반응형
와이어프레임은 UI(User Interface) 설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. 이 도구를 통해 서비스기획자는 디자이너와 협업하여 서비스의 전반적인 구조를 파악하고, 빠르게 아이디어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.
1. 와이어프레임의 설명
와이어프레임은 서비스의 UI 구성과 기능을 담은 청사진입니다. 보통 검은색 선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, 디자인과 색상 등은 배제되어 있습니다. 이는 서비스의 핵심 기능과 구성을 중심으로 제작된 결과물이기 때문에, UI 디자인보다는 서비스의 기획 단계에서 더 많이 사용됩니다.
2. 와이어프레임의 작성법
와이어프레임 작성법은 다양합니다. 그러나 보통은 필요한 화면을 정하고, 그림판이나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구성합니다.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, 디자인과 색상은 배제하고, 구성과 기능 중심으로 작성해야 합니다. 또한, 와이어프레임은 아이디어 시각화를 위한 도구이기 때문에, 완벽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 빠르게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으면 됩니다.
3. 와이어프레임을 만드는 툴
와이어프레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디자인 툴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툴로는 Sketch, Figma, Adobe XD 등이 있습니다. 그 외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Pencil Project, Balsamiq, Moqups 등이 있으며, 웹 브라우저에서 이용할 수 있는 MockFlow, Wireframe.cc, Framer 등도 있습니다. 이 중에서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의 취향과 목적에 맞게 결정하면 됩니다. 와이어프레임은 UI 설계에서 필수적인 도구이기 때문에, 서비스기획자가 이를 숙지하고,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. 이를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.
4. 와이어프레임 예시
아래는 일반 게시물 상세화면 및 게시물 목록 화면의 와이어프레임 예시 입니다.
LIST
'IT 지식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*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방법* (0) | 2023.07.24 |
---|---|
신입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(UX) (0) | 2023.05.30 |
서비스기획자를 위한 IA (Information Architecture) 설계 방법 (0) | 2023.05.15 |
*서비스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은 개발 용어* (0) | 2023.05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