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 지식들

*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방법*

반응형
요구사항 정의서 작성은 서비스 기획자로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단계입니다. 이 문서를 통해 서비스의 목표와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, 개발 팀과 원활한 협업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. 이제 신입 서비스 기획자들이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할 때 알면 좋을 핵심 사항과 기본 용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​ ​

 

 

1. 요구사항 정의서의 목적과 중요성
요구사항 정의서는 프로젝트의 목표와 범위 필요한 기능들, 제약 사항, 프로젝트 일정 등을 정의하는 문서입니다. 이 문서는 개발 팀과 클라이언트, 이해관계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올바르게 작성된 요구사항 정의서는 개발 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, 불필요한 변경과 추가를 방지하여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입니다. ​ ​

 

 

2. 주요 용어 설명 
- 스테이크홀더(Stakeholder) :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거나 받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을 의미합니다. 스테이크홀더들의 관점과 필요에 맞게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반영해야 합니다. ​

- 기능 요구사항(Functional Requirements) : 시스템이나 서비스가 수행해야 하는 기능에 관한 요구사항입니다. 기능 요구사항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작성되어야 합니다. ​

- 비기능 요구사항(Non-Functional Requirements) : 시스템이나 서비스의 성능, 보안, 사용성과 같은 기능 이외의 요구사항을 의미합니다. 성능, 안전성, 보안성과 같은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. ​ ​

 

 

3.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가이드라인
- 이해관계자 식별: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거나 받는 스테이크홀더들을 정확하게 식별해야 합니다.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요구사항을 수집하고,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요구사항을 도출해야 합니다. ​

- 우선순위와 비용 대비 가치 고려: 모든 요구사항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고, 개발 비용 대비 가치를 고려하여 중요하고 필수적인 요구사항들에 집중해야 합니다. ​

- 명확하고 구체적인 기술: 요구사항은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. 모호하거나 해석하기 어려운 요구사항은 개발 프로세스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. ​

- 변경 관리 프로세스 구현: 프로젝트 진행 중에 변경 요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변경 요청에 대한 검토와 승인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프로젝트 스코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. ​ ​

 

 

4. 요구사항 정의서 예시
1) 서비스 기능 요구사항
- 사용자는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.
- 상품 목록을 조회하고,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.
-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고, 주문을 생성할 수 있어야 합니다. ​

2) 서비스 비기능 요구사항
- 웹 페이지의 응답 속도는 3초 이내로 유지되어야 합니다.
- 보안성을 강화하여 사용자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합니다.
- 사용자 친화적인 UI/UX를 제공해야 합니다 ​ ​ ​

 

 


 

마무리
요구사항 정의서 작성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작업입니다. 이해관계자들과 원활한 소통과 협업을 통해 명확하고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정의하고, 변경 요청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. 올바른 요구사항 정의서는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진행과 최종적인 성공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.

 

 

LIST